2. 말더듬의 원인 및 이론
말더듬의 하위유형 |
- 말더듬 유형: 반복, 연장 - 말더듬 발생특성: 갑자기, 점진적으로 - 언어능력: 정상발달 vs. 발달지연 - 조음·음운능력: 정상발달 vs. 발달지연 |
||
말더듬 발생 및 지속 관련요인 | ① 유전요인 - 55%가 유창성장애 가계력 - 남자일 경우 부계에서, 여자일 경우 모계에서 더 높은 유전율 ② 뇌신경학적 요인 - 기능적·구조적 이상과 관련성이 있으며, 말운동 영역과 말소리 지각 영역의 연결이 정상 적이지 않은 것이 말더듬 발생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③ 인지요인 ④ 말·언어요인 ⑤ 이중언어 ⑥ 심리정서요인 |
||
말더듬 이론 | 심리정서이론 | 심리분석이론 | ・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무의식적 욕망이 의식적으로 표출 되는 과정에 나타나는 것 ・ 부모와의 관계가 적절하게 형성되지 못했을 때 말더듬이 발생할 수 있다고 봄 |
의사소통-정서 말더듬 모델 (C-E 모델) |
・ 실제 말을 더듬는 순간에 초점 - 과거요인: 유전적 요인, 환경 요인 - 현재요인: 말더듬 유발시키는 방아쇠 역할하는 요인 - 악화요인: 정서 반응성 및 정서조절 ・ 말더듬 발생 요인 포괄적으로 제시 ・ 개별화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공 |
||
심리행동이론 (학습) |
진단착오이론 | ・ 말더듬의 원인을 아동의 말을 과도하게 걱정하는 부모로 부터 기인되었다고 봄 | |
학습행동으로서 말더듬 | ・ 말더듬이 학습된 행동이다 ・ 말더듬이 불안에 의해 동기화되고 학습된 회피 반응으로 정의 ・ 치료: 회피 행동을 약화해서 궁극적으로 소거 |
||
접근-회피 갈등으로서 말더듬 | ・ 말을 하고 싶은 욕구(접근)와 조용히 있으려는 욕구(회피) 사이의 갈등에서 발생 ・ 치료: 접근의 욕구를 상대적으로 증가 |
||
조건화 반응으로서 말더듬 | ・ 말더듬 행동을 조건화된 반응으로 봄 ・ 말더듬이 왜 학령전기에 시작되는가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음 ・ 말더듬 치료 초기에 응용되는 행동수정기법의 이론적 기 초를 제공하였음. |
||
조작적 행동으로서 말더듬 | ・ 아동의 비유창성의 발달 과정이 청자의 말더듬에 대한 반응에 달려 있다고 보는 입장 | ||
2요인이론 | ・ 고전적 조건화, 조작적 조건화가 말더듬에 기여함 | ||
예상투쟁이론 | ・ 말더듬은 아동의 만성적인 의사소통 실패에 대한 부정적 반응(아동, 부모)으로 발생 | ||
심리언어이론 | 내적 수정 가설 | ・ 말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말더듬 생긴다고 봄 | |
EXPLAN 이론 | ・ 내적 수정 가설 발전시킴 ・ 화자의 말 계획이 수립되지 않아 실행 단계로 넘어 오지 못한 경우라고 봄 |
||
생리학 이론 |
대뇌반구 지배이론 | ・ 말을 더듬는 사람들은 좌반구의 지배력이 약화된 것임 ・ 좌반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오른손을 사용해 야 함 |
|
말 산출 체계의 불협응 이론 | ・ 정상적 말 산출을 위해서는 조음기관, 발성기관, 호흡기 관의 협응이 이루어져야 함 | ||
다요인 모델 |
요구-용량 모델 (DC모델) |
・ 한정된 용량을 초과하는 외적 요구가 말 산출 체계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지 못함 ・ 성장할수록 용량을 늘려가야함 |
|
역동적 다요인 모델 | ・ 말더듬의 많은 요인들이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고 봄 ・ 하나의 요인이 원인이 될 수 없음 |
||
말더듬의 심화이론 | ・ 운동장애로서의 말더듬 ・ 타이밍 장애로서의 말더듬 ・ 신경심리언어이론 ・ 이중 전운동 모델가설 ・ 다요인 역동적 경로 이론 ・ 말더듬의 이중 취약성-스트레스 모델 |
[출처: 유창성장애 평가와 치료. 심현섭 저. 학지사]
'언어재활사 2급 국시 > 유창성장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창성장애3. 유창성장애 임상의 기초 (평가, 평가절차, 치료) (0) | 2025.01.20 |
---|---|
유창성장애1. 유창성 장애의 특성 (0) | 2025.01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