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유창성장애의 특성
- 가장 오래된 의사소통장애
말더듬이란 무엇인가 |
① Starkweather(1987) 말의 유창성: 속도, 노력, 리듬 및 연속성 - 말속도: 1초당 또는 1분당 산출된 음절의 수, 호흡 및 조음 기관의 통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(동시조음 이루어져야 함) - 노력: 객관적으로 수량화하기 어려움. 말을 할 때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였는가, 말 산출과 관련된 근육들이 얼마나 긴장되어 있는가 - 리듬 및 연속성: 부적절한 쉼이 과도하게 발생하지 않고 물 흐르듯이 자연스럽게 산출 ② 말더듬 1) 고전적 정의: 말 장애 현상으로 간주하는 경우, 반복과 연장만을 말더듬으로 봄 비유창성 유형에 대한 청지각적 판단에 기초 2) 다차원적이다라는 전제: 말더듬을 복잡한 장애로 간주 - 말소리 반복, 연장 및 막힘과 같은 외현적으로 관찰 가능한 비유창성 유형 포함 - 말을 더듬는 동안 관찰되는 머리 움직임, 조음기관의 긴장 또는 팔과 다리 움직임 등과 같은 부수 행동 포함 - 말을 더듬는 순간 나타나는 혈류 변화, 피부 반응, 동공 반응, 뇌파 반응 등과 같은 생리적 활동 포함 - 말을 더듬을거 같은 상황에 대한 회피, 불안 및 공포, 아동의 기질적으로 민감한 성격과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능력 등과 같은 정서적 요소 포함 - 자기 생각을 빠르게 말로 옮기기 위한 언어적·인지적 처리에서의 문제 포함 - 말더듬으로 인해 다양한 사회적 활동 참여 제한되고, 직업 선택의 어려움 같은 축소된 일상생활 영역의 반경이 포함 |
||
말더듬의 하위유형 |
발달성 말더듬 | - 학령전기에 말더듬이 발생한 경우의 유형 - 자연회복 되지 않을 경우 지속될 수 있음 - DSM-5 ‘아동기-시작 유창성장애’라는 새로운 용어 사용 |
|
후천성 말더듬 | 학령전기 이후부터 성인기에 발생한 유형 | ||
신경성 말더듬 |
- 신경학적 질병 또는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유창성장애 - 주로 성인기에 발생 - 유형: 말운동 말더듬, 실행증 말더듬, 건망성 말더듬 - 특징 · 상황에 따라 비유창성 정도가 변화하지 않음 · 말더듬 현상이 첫 단어뿐만 아니라 발화의 모든 위치에서 일어남 · 내용어뿐만 아니라 기능어에서 말더듬 나타남 · 말을 더듬는 동안 좌절은 하지만 불안 및 공포심은 갖고 있지 않음 · 말을 더듬는 동안 부수행동 거의 나타나지 않음 · 동일한 문단에 대해 반복횟수 증가함에 따라 말더듬 빈도 감소 하 는 적응효과 거의 나타나지 않음 |
||
심인성 말더듬 |
- 발달적 말더듬에서 보이는 반복, 연장 및 막힘과 같은 비유창성 유 형을 보임 - 심리적·정서적인 문제로 인해 갑자기 발생하는 보기 드문 비전형적 유창성 장애 - 발생빈도 성별에 따른 차이 없음 |
||
말빠름증 | - 말속도 빠르고, 불규칙적, 발음 부정확 - 간투사, 단어 및 구 반복, 수정 및 주저 등과 같은 비유창성 유형 |
||
말더듬의 발병률, 유병률 및 자연회복 |
① 발병률(발생률): 평생에 걸쳐 말더듬을 경험한 사람의 비율 ② 유병률(출현율): 특정시기(말더듬 조사가 시행될 당시)에 말을 더듬고 있는 사람의 비율 발병률 > 유병률 ③ 아동의 언어발달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시기 30~48개월(평균 33개월) 주로 시작 - 학령전기 유병률 5~8% - 남녀비율 1.5:1 - 80% 정도의 아동이 치료를 받거나 또는 받지 않고 회복 ④ 청소년과 성인의 말더듬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1% - 남녀비율 4:1 ⑤ 자연회복 기준 - 1년 동안은 말더듬이 나타나지 않아야 하며, 공식적인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|
||
말더듬의 특성 | 정상적 비유창성과 말더듬 변별 | - 가장 많이 보이는 비유창성 유형: 단어 반복, 삽입어 사용 - 언어발달 시기에 아동들이 보여주는 비유창성 유형 → 정상적 비유창성 ![]() |
|
특성 | ① 핵심행동 (= 일차행동, 공통행동) - 반복: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 - 연장: 막힘이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, 가능한 ‘연장’ 사용 권고 ② 부수행동 (= 이차행동, 수반행동) 학습된 행동 - 탈출행동 ‘말더듬 중에’ 빠져나오기 위한 대처행동 - 회피행동 ‘말더듬 시작 전에’ ③ 느낌과 태도 ![]() ④ 말더듬 발생 빈도의 경향성: 빈도는 가변적, 예측 어려움 - 적응효과 :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말더듬의 빈도는 감소하는 현상, 일시적, 개인차 있음 - 일관성 효과: 첫 회에서 더듬는 단어를 후속 읽기에서는 더듬는 현상 ![]() |
||
말더듬의 발달 | ① 말더듬 발달에 따른 하위집단 유형 · Bloodstein(1960) 발달 4단계 특성 ![]() → 자연회복에 대한 자료 포함되어 있지 않아 임상 적용에 주의 요구됨 · Van Riper(1971) 4개 하위유형 ![]() |
[출처: 유창성장애 평가와 치료. 심현섭 저. 학지사]
'언어재활사 2급 국시 > 유창성장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창성장애3. 유창성장애 임상의 기초 (평가, 평가절차, 치료) (0) | 2025.01.20 |
---|---|
유창성장애2. 말더듬의 원인 및 이론 (2) | 2025.01.17 |